본문 바로가기
경제

메타버스 뜻

by 슬기로운 생활 2021. 9. 9.
반응형

메타버스 뜻

 

요즘 뉴스나 신문 기사를 보더라도 메타버스에 대한 언급이 많이 있었어요. 메타버스가 뭐지? 머릿속에 항상 궁금증이 있었어요. 뭔가 시대가 변하는데 뒤따라가지 못하고 혼자 신조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느낌이랄까요 ^^; 그래서 메타버스 뜻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제는 뉴스를 보거나 사람들과 대화할 때도 뜻을 알고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메타버스의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메타버스란?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영단어 '메타'(Meta)라는 단어와 우주,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 단어를 조합한 합성어라고 합니다. 이 단어를 가장 먼저 사용한 사람은 미국 SF작가 닐 스티븐슨입니다. 1992년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이 단어를 처음 언급했다고 해요.

 

참고로, 메타버스 라는 합성어를 한글로 번역하면 그냥 '가상세계'라고 부를 수 있겠네요. 한국에서는 이미 2000년대가 되면서 '가상현실'이라는 단어가 등장해서 영화나 연예계에서 많이 쓰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요새는 메타버스라는 단어로 사용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처럼 메타버스는 현실과 같은 가상현실에서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가상공간을 뜻한다고 해요. 아~ 그렇게 생각하면 2000년대 등장했던 '가상현실'이라는 개념과는 차이가 나는 것이 단순한 가상현실의 공간이 아니라 그 안에서 경제, 문화 활동을 영유할 수 있다는 것 같다고 저는 정리가 되네요. 이 메타버스의 하위 개념이 바로 가상현실, 증강현실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메타버스는 이 가상현실보다 한단계 더 진화한 개념입니다. 소셜 네트워크가 구축이 되어서 이 메타버스에서는 사회적인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큰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VR이라 불리는 가상현실에서 게임이나 실제에서 하는 것 같은 체험들을 할 수 있지만 사회적인 네트워크는 이룰 수 없지만 메타버스는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요즘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많은 이유는 코로나19 때문이라고 합니다. 2020년 초 코로나19 사태가 생기면서 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고 대면 만남이 줄게 되면서 온라인 게임과 비대면 활동이 대두되다 보니 메타버스에 관심이 많이 쏠리고 개발이 한창이라고 합니다. 5G와 같은 정보통신기술이 발달되면서 더 가속화되고 있다고 하네요. 

 

 

 

 

스티븐 스필버그 '레이 플레이어 원' 현실이 되나? 

 

레디 플레이어 원 영화 스틸컷

 

 

메타버스에 대해 알다보니 2018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찍은 레디 플레이어 원이라는 영화가 생각이 났습니다. 그 당시에 극장에서 보고 충격적이었던 영화인데요, 메타버스가 일상이 돼버린 2024년 미래에 벌어지는 일에 대한 영화예요. 그 당시에는 저 가상현실이 메타버스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지금 보니 저것이 메타버스였습니다. ㅎㅎ

 

주인공 웨이드는 암울한 현실에서 벗어나서 오아시스라는 메타버스에 접속해서 가상현실의 캐릭터로 살아갑니다.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이 오아시스 속에서 다른 캐릭터로 살아가는 것이죠. 이 오아시스는 전세계에서 접속하는 곳이고, 어마하게 커서 이 안에서 사람들을 사귀고 문화생활을 할 수도 있는 곳이에요. 마치 현실과 같이 실감이 나서 많은 접속자들이 중독처럼 이곳에 접속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고글같은 기구를 쓰고 오아시스에 접속해서 마치 현실 같은 느낌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것이죠. 그런데 지금 5G 발달로 메타버스가 개발이 진행되면서 이런 세상이 진짜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시대에 생길 수도 있겠다는 것이 피부로 와닿습니다. 저 영화를 볼 당시인 2018년도만 해도 어느 미래에 진짜 생길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은 했지만 이렇게 빨리 메타버스가 제 삶에 가까이 올 줄은 몰랐는데 말입니다. 

 

메타버스는 너무 신기하고 새로운 신기술이지만 부작용도 있을 것이라 예상됩니다. 현실세계의 암울함으로 인해서 가상현실세계에 안주하고 집착하게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지속이 된다면 현실과 가상현실세계를 구분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레디 플레이어 원 영화에서 주는 교훈은 결국 현실에서 도피해서 가상현실 세계에서 너무 오래 머무르지 말자, 현실을 소중히 여기자 였습니다. 메타버스 뜻에 대해서 알았는데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기술이지만 스티븐 스필버그가 미래를 내다보고 주는 이 교훈을 잊지 않고 메타버스 기술을 맞이해야겠습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총정리  (0) 2022.05.08
2021년 10월 공모주 일정  (1) 2021.10.08
프롬바이오 공모주 가이드  (0) 2021.09.15
홍준표 관련주 알아보기  (2) 2021.09.10
잭슨홀 미팅이란  (0) 2021.08.29
테이퍼링 뜻 정리  (0) 2021.08.24
지누스 주가 급락, 향후 전망  (0) 2021.08.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