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국민연금 임의 가입 자격 및 총정리

by 슬기로운 생활 2021. 8. 20.
반응형

국민연금 임의 가입 자격 및 총정리

 

국민연금 임의 가입이 시행된 이후 국민연금에 스스로 가입하는 즉 '임의가입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임의가입자수는 2020년 말 기준 36만 2000명이나 되었습니다. 이는 2015년 말 24만 명이었던 국민연금 임의 가입자수에 비해  50% 증가한 수치입니다. 앞으로의 노후가 중요한 만큼 국민연금 임의가입에 대한 관심과 참여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인데요, 임의 가입을 위한 자격 및 총정리하는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나의 노후설계를 위한 국민연금 임의가입에 대해 알아볼게요. 

 

 

 

국민연금 임의 가입이란? 

 

국민연금은 소득이 있는 18세부터 60세까지 의무 가입하는 국가 제도입니다. 60세가 지나면 원래는 국민연금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그런데 60세가 넘어서도 국민연금에 가입, 유지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게 국민연금 임의 가입입니다.  

 

  • 국민연금을 60세 이전 딱 한 번이라도 낸 적이 있는 국민연금 가입자가 가입할 수 있고, 10년을 채워야 노령연금의 형태로 국민연금을 매달 수령할 수 있기 때문에 10년을 채우기 위해서 임의 가입이라는 형식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10년을 채우지 못한 가입자는 납부한 원금과 약간의 이자를 반환금으로 받을 수 있지만 매달 받는 연금이 더 금액적으로 유리합니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50세부터 55세까지 국민연금으로 월 9만 원을 낸 사업자가 있다면 5년의 기간을 채우지 못했으므로 국민연금을 수령하지 못합니다.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서 남은 5년을 다시 국민연금 임의 가입으로 가입해서 남은 540만 원을 5년에 걸쳐 낸다고 가정합니다. 그러면 10년을 채우고 매월 18만 3180원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18만 3180원이 적어보일 수 있지만 1년 단위로 환산하면 2,198,160원이 됩니다. 또 이를 수십 년 계산해서 본다면 큰 금액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임의가입을 통해서 5년을 더 가입해서 10년을 채우기 위한 월 납부 금액인 540만원보다 훨씬 큰 금액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민연금은 물가상승률에 따라 인상 된다는 점이 가입의 이유이기도 합니다. 

 

 

 

 

국민연금 임의 가입 자격 대상

 

임의가입은 만18세 이상만 60세 미만의 대한민국 국민이면 본인이 희망할 경우 가입 가능합니다. 다만 국민연금 임의 가입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 타공적 연금 가입자
  •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또는 외국인
  • 조기노령연금 수급권을 취득한 자
  • 노령연금수급권을 취득한 60세 미만의 특수직 종근 로자

2016년 11월부터 추후납부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전업주부도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과거 최소 1달 이상 국민연금에 가입해 납부를 한 이력이 있어야 된다는 점을 기억하시고 60세가 되기 전에 주부이고 노후 준비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국민연금에 가입해서 납부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국민연금 입의 가입 방법

 

1. 국민연금 임의 가입을 하려면 먼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들어가야 합니다. 

 

 

https://www.nps.or.kr/jsppage/main.jsp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국민연금 홈페이지 메인 화면

 

2. 홈페이지 화면에서 전자민원 → 개인 민원을 클릭합니다. 

 

 

 

 

 

 

3. 개인서비스에서 신고/신청을 누릅니다. 

 

 

 

 

 

 

4. 신고/신청 아래에 임의(희망) 가입 탈퇴를 누릅니다. 

 

 

 

 

 

 

5. 그 이후 개인정보 확인을 위한 로그인을 해야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 로그인을 해줍니다.

 

공동 인증서가 컴퓨터에 있는 경우라면 공동 인증서를, 금융인증서가 있다면 금융인증서 로그인, 또는 네이버 인증 또는 카카오페이를 통한 간단한 로그인도 할 수 있으니 평소 본인에게 맞는 간단한 로그인 방법을 알아놓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6. 로그인을 한 후 임의가입 신청란에서 임의 가입 가능 여부 확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임의가입 신청서 작성을 눌리면 국민연금 임의가입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국민연금 임의가입을 위한 자격과 절차, 방법들을 총정리해봤습니다. 여러 가지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서 노후 준비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출산율 저하라던지 고용 불안 등 많은 요소들이 존재합니다. 주부들에게도 길을 열어주어 노후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도인 만큼 하나라도 더 알고 누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